❶프로젝트 환경설정

Crepe

❶프로젝트 환경설정


  • 프로젝트 생성

  •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 View 환경설정
  • 빌드하고 실행하기




프로젝트를 생성하기에 앞서 준비물이 있다!

  • Java 11 설치

  • IDE:IntelliJ 또는 Eclipse 설치


이렇게 강의를 진행하는데 나는 수업에서 자바를 8버전을 사용하고있어 8버전에서 변경을 할 필요가있었다.

Crepe

[현재 나의 버전은 1.8이다]

homebrew로 11을 다운받은다음,

$ export JAVA_HOME=$(/usr/libexec/java_home -v 11)

명령어를 실행시켜 자바 11이 실행되도록 했다. 이렇게 하면 수업에서 사용할 기존 8 버전은 살아있지만

Crepe

이렇게 java 11버전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수있다!

현재 수업에서는 이클립스를 사용하지만 원활한 강의의 진행과 개인적으로 인텔리제이가 공부하고싶었기에 인텔리제이를 다운받았다!



준비가 끝났다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
start.spring.io

Crepe

다음과같이 빌드를 진행한다!
이중 Dependencies 를 설명하자면 다음과같다.


Dependencies :

  • 스프링 부트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어떤 라이브러리를 땡겨와서 사용할지 정하는 것


그중 웹화면을 만들것이기 때문에 Spring Web 을 선택 후
HTML을 만들어주는 템플릿 엔진 Thymeleaf 를 선택한다!

Crepe

Crepe

이렇게 빌드를 마치고 GENERATE를 누르면 지정한 이름의 zip파일을 다운받는다.

Crepe

그리고 홈에 study라는 폴더를 만들어 하위에 hello-spring 압축을 풀었다.

Crepe

hello-spring 하위에 build.gradle 파일을 인텔리제이에서 open한다!

Crepe

인텔리제이에서 hello-spring 을 open 완료하였다.
구조를 잠시 살펴보자

.idea

인텔리제이가 사용하는 설정파일

gradle

하위에 wrapper 가 있음 gradle을 사용하는 폴더

src

요즘은 main, test 폴더가 기본적으로 나누어저 있음 거의 표준화된 부분이랑 생각하면된다!

  • main 하위에는 java, resources 가 있고,
  • java 하위에 실제패키지와 소스파일들이 있다.
  • resources는 실제 자바 코드를 제외한 xml,properties, 등 설정파일이 들어가있다.
  • test 에는 테스트코드들과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간다.
    이렇게 test가 분리되어있다는 것은 test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build.gradle

이부분은 중요하다 ⭐️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1'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 자바 11 version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 템블릿엔진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 웹 만드는 거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test {
useJUnitPlatform()
}

버전을 설정하고 라이브러리를 가져오는 역할을 수행한다


.gitignore

소스코드 관리를 도와준다.
git에는 필요한 source code 파일만 올라가고 나머지(빌드된 결과물 등..)는 올라가면 안되는데 그런것들을 기본적으로 start.spring.io 에서 도와준다..!!


코드를 바로 실행해보자!
src > main > java > hello > hellospring > helloSpringApplication 을 실행시켜 보도록 하겠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package hello.hellospring;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HelloSpring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HelloSpringApplication.class, args);

	}
}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면 다음과같은 콘솔이 보인다

Crepe

이 중에

2021-12-13 22:21:48.403 INFO 66489 
--- [ 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started on port(s): 8080 (http) with context path ''

부분을 보면 8080포트로 실행이 된것을 알수있다
그러면 웹브라우저 chrome을 실행시켜 확인해보겠다.

Crepe

웹 브라우저에 localhost:8080이 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